반응형
오지 (OG, Original Gangster) | 극초기 시장진입자 굉장히 소수이다. |
화리 (WL, White List) | 선별된 작업을 통해 민팅권을 받은 초기 진입자 |
홀더(Holder) | 소유자. 암호화폐 혹은 NFT를 소유한 이를 지칭하는 용어 |
Web 3.0 | 특정 조직에 운영되는 서비스가 아닌, 다자간의 합의를 통해 운영되는 인터넷 서비스를 통칭하는 용어로, 블록체인, 메타버스 등의 개념을 포괄 |
민팅(Minting) | NFT 발행을 하는 것을 의미. 대부분의 프로젝트는 앞서 OG, WL 들에게만 열리는 프리민팅(pre-minting) 과 모두에게 열리는 퍼블릭민팅(public minting) 이 있다. |
애드(AD, Air Drop) | 이벤트나 추첨을 통해 NFT를 개인지갑으로 주는것 |
오픈씨(Opensea) | 세계 최대 NFT 마켓 플레이스. NFT를 사고 파는 곳이다. |
포모(FOMO, Fear of Missing Out) | 고립공포감, 민팅에 실패하거나 거래 실패한 NFT의 가격이 오를때 드는 감정. 이 감정으로 인해 잘못된 투자를 하곤한다. |
퍼드(FUD, Fear, Uncertainty and Doubt) | 공포, 불확실성, 의심을 총칭하며 가짜뉴스 생산이나 악재를 퍼뜨리는 행위 |
다오(DAO,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 | 탈중앙화 자율조직. 블록체인의 핵심이자 NFT 시장의 본질. 커뮤니티에서는 구성원들의 자율적인 제안과 투표 등의 의사결정을 블록체인을 통해서 구성한것으로 NFT 보유수량 비율 또는 투표권을 가진 토큰 등을통해 조직을 운영한다. |
아마(AMA, Ask Me Anything) |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재단과 구성원과의 질문과 답변 소통 방식 |
가스비(또는 가스피, Gas fee) | 트랜잭션 마다 발생하는 수수료. 민팅 할때나 NFT 거래, 토큰 전송 등을 할 때 쓰인다. |
거래 수수료(market fee) | NFT 를 마켓에서 판매할때 떼는 수수료 마켓 총 수수료 = (거래소 기본수수료 + 로얄티 ) = 10%정도로 해둔 프로젝트가 대다수이다. |
백커(backer) | 이 프로젝트의 후원자, 프로젝트의 백커가 든든하면 투자를 할때 신뢰를 갖고 투자하게된다. |
리스팅 | 오픈씨 또는 NFT 마켓에 NFT를 판매하기 위해 올려놓는 것 |
WAGMI("We All Gonna Make It") | 상황에 따라 약간씩 다르겠지만 '우리 모두 잘될 거야!' 혹은 '우리는 할 수 있다!'의 의미로 주로 쓰임 |
트젝 (트랜잭션 tx, transaction) | 코인의 이동 또는 NFT 의 거래등 블록체인의 블록의 변경되는 거래 기록 |
페이퍼 핸드(paper hands) | 특정 대체불가능토큰(NFT) 혹은 종목에 대한 미래 가치를 예상하지 못하고 값싼 가격에 매도해버린 사람들을 칭하는 용어 |
다이아몬드 핸드(diamond hands) | paper hands 의 반댓말로 다이아몬드같이 좋은 종목 혹은 상품을 꽉 쥐고 놓지 않는 사람들 |
바닥가 (fp, floor price) | 해당 NFT의 마켓 최저가를 뜻하는 말로 NFT의 가격을 측정하는 가장 중요한 척도 |
반응형
'코인 >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타마스크 지갑 <-> 카이카스 지갑 서로 연동하기 (0) | 2022.04.23 |
---|---|
팬텀 DAO 퍼블릭 IDO 참여 후기 (0) | 2022.02.23 |
바이낸스 NFT로 미스테리박스 참여하고 $600,000 기회를 노리자! (0) | 2022.02.22 |
스마트폰 버튼 한번 클릭으로 비트코인레전드 코인 채굴하기!(무지성참여) (0) | 2022.01.19 |
오픈메타시티 메타버스 용산아파트 청약(무지성 참여) (0) | 2022.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