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상식/경제 / / 2019. 9. 9. 21:38

[사이다금융] ISA/파생상품/채권/보험

반응형

ISA 특징

1. 가입대상

근로소득/사업소득이 꾸준히 있는 사람

 

2. 의무가입기간

일반적으로 5년의 기간, 만 29세 이하 청년이나 총급여 5000만원 이하 근로자는 의무가입기간이 3년으로 단축

 

3. 운용방법

신탁형 : 개인이 직접 상품을 결정하는 것(0 ~ 0.5% 수수료)

위임형 : 금융기간이 알아서 돈을 관리하는 것(0.3 ~ 1% 수수료)

 

4. 세제혜택

손익 합산금액이 200만원까지 비과세, 초과분에 대해서만 9.9% 분리과세

 

장점

예금, 펀드, 파생결합증권 등 다양한 상품에 가입이 가능함

계좌 내 모든 상품들의 손익을 통산함

 

단점

의무 가입기간이 존재하며 만기되면 무조건 ISA 계좌가 청산됨

운용수수료가 존재하며 무조건 상품에 가입해야 함

 

파생상품

미래의 특정한 시점에 특정 가격으로 물건을 거래하기로 약속하는 무형의 금융상품

 

선물(Futures), Futures contract

특정일에 미리 정한 가격으로 해당 대상을 매입/매도하기로 약속하는 계약

물건의 가격변동이 심하더라도 약속한 가격으로 거래를 할 수 있다

판매가격을 특정가격으로 미리 계약해 놓은 다음, 가격변동과 무관하게 그 가격에 판매/구입을 하는 것

 

옵션(Option)

특정일에 미리 정한 가격으로 해당 대상을 매입이나 매도할 수 있는 권리를 계약하는 것

콜 옵션(Call Option) : 매입할 수 있는 권리

풋 옵션(Put Option) : 매도할 수 없는 권리

cf) 선물계약과 옵션계약의 차이점

선물계약은 미리 지정한 가격에 반드시 매입/매도를 해야한다.

옵션계약은 매입/매도자가 자신에게 불리한 가격이 형성되면 계약을 포기할 수 있다.(위험을 회피할 수 있다)

ex) A가 B에게 올해 가을에 쌀을 2만원에 살 수 있는 권리를 3천원(옵션 프리미엄)을 주고 산다고 가정한다.

쌀이 3만원으로 오른 경우 : (3만원 - 2만원) - 3천원(옵션 프리미엄) = 7천원 이익

쌀이 1만원으로 내린 경우 : A는 거래를 포기, 3천원(옵션 프리미엄) 손해

 

스왑(Swap)

특정일에 미리 정한 가격으로 자신의 기초자산을 거래 당사자 상호간에 교환하기로 약정하는 계약

주로 스왑을 필요로 하는 당사자 간 계약을 체결하도록 중개 역할을 하는 것을 스왑 딜러(Swap dealer)라고 부름

파생상품 거래량의 50%를 차지하지만 거래소시장에서 거래되지 않는 장외상품

금리의 변동 및 환율의 변동위험 또는 관세와 같은 시장 규제를 회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교환의 대상에 따라 상품스왑, 금융스왑, 통화스압, 금리스왑 등이 있다.


보험

일상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확실성에 대비하는 상품

 

생명보험

순수보장형 보험

- 보험기간 만료일까지 생존시 보험금, 만기환급금이 지급되지 않는 것

- 사망, 손해 등 순수한 위험 발생에 대해서만 보험료를 지급받는 것

일반보장성 보험

- 보험기간 만료일까지 생존시 피보험자가 납입한 보험료를 초과하지 않는 만기환급금이 지급되는 것

- 가입자에게 손해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만기환급금을 일부 받을 수 있는 것

계약배당

- 보험회사가 회사경영에 대한 위험률을 계산하여 보험계약자에게 반환하는 것

- 무배당 상품은 계약배당이 없는 상품이며 배당상품에 비해 저렴함

 

손해보험

화재, 도난, 재난 등의 위험에서 재산의 손실을 보호해주는 보험

재보험

- 보험자가 피보험자로부터 인수한 책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위험분산을 통해 사업의 안전을 목적으로 다시 타 보험업자에게 보험을 드는 것

ex) A 회사가 B 회사에 10억원 보험계약을 맺으면 B 회사는 다른 C 회사에 재보험을 들어서 위험부담을 줄인다.

변액보험

- 보험회사가 보험료를 받으면 이를 사전에 설정된 펀드에 편입시켜 투자신탁 형태로 운용해 이익일 배분하는 상품

보험금이 변할 수 있으며 원금보장이 되지 않을 수 있음.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