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지수(Index) 펀드이면서 동시에 거래소에 상장되어 한 주를 기본 단위로 실시간 거래되는 상장지수펀드
펀드와 달리 거래소에서 실시간 시장 가격으로 거래 될 수 있고 환매수수료가 없는 것이 특징
운용보수가 적고, 증권거래세 면제와 매매차익에 대한 세금이 없음
자산운용사의 포트폴리오에 포함되어 운용되어 발생한 운용 수익을 운용사에 지급
ETF BIG 3(KODEX200, KODEX레버리지, KODEX인버스)를 제외하고는 거래량이 부족
ETN
상장지수 채권, 상장지수증권
특정 지수(금 선물, 원유 선물)의 상승/하락으로 수익이 결정되는 상품
다른 투자 상품과는 다르게 만기가 존재해 만기시 자동으로 상품 운용이 종료됨
지급을 약속한 주체가 파산할 경우 전액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
ELS
주가지수에 따라 수익이 지급되는 주가연계증권
주가지수의 상승에서 수익을 얻는 것부터, 주가지수의 등락구간의 폭에 따라 수익률에 차이나는 것까지 그 유형이 다양힘
우량채권이나 국공채 등 안전자산에 투자하는 비율에 따라 원금 보장형 / 원금 부분보장형 / 원금 조건부 보장형으로 나뉨
ELB
주가연계채권으로 ELS에 존재하는 투자 상품을 채권으로 제한한 것
원금보장형은 우량 채권이나 국고채 등 안정된 자산에 투자하기 때문에 수익이 보장되어 있음
운용자금을 우량채권이나 국공채 등 안전자산에 90~95% 이상의 자금을 투자하고 남은 5%의 ELB 운용자금을 주식옵션에 투자함으로써 추가 수익을 얻는 것
고수익 구간이 제한적이어서 수익이 낮다는 단점이 있음
1~3년 정도의 중장기 투자에 적합한 금융상품
DLB
기타파생결합사채
운용자금을 우량채권이나 국공채 등 안전자산에 90~95% 이상의 자금을 투자하고 남은 5%의 DLB 운용자금을 기초자산(원유, 통화, 원자재) 등에 투자해서 이자소득
기초자산 : WTI(원유) 선물, 브렌트유 선물, 엔-달러 환율, 금, 은 등
'금융상식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플레이션 시대에는 현금 비중을 높여라 (0) | 2022.04.17 |
---|---|
[사이다금융] 단기금융시장 (0) | 2019.09.14 |
[사이다금융] ISA/파생상품/채권/보험 (0) | 2019.09.09 |
채권을 이해하자 (0) | 2019.09.08 |
[공유] 포트폴리오&리포트 사이트 정리 (0) | 2019.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