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재테크 / / 2019. 7. 16. 01:47

[월급쟁이 재테크] 1장. 재테크의 첫걸음, 종잣돈 만들기

반응형

아무리 배가 고파도 종자는 먹지 마라

- 종잣돈(Seed Money) = 씨앗이 되는 돈, 지금 당장이 아닌 앞으로의 필요를 채우기 위해 남겨두어야 하는 자금

- 종잣돈 1단계는 연봉의 2배를 만드는 것!

- 래칫 효과 : 한 번 올라간 소비 수준은 내려오지 않는다. 예를 들어 외제차를 타다가 소형 국산차로 갈아타기는 쉽지 않다. 돈을 모으는 시작부터 소비 수준을 낮춰야만 돈을 모으기 쉬워진다.

- 계좌이동제 : 여러 금융회사에 등록되어 있는 본인의 자동이체 등록정보를 자동이체통합관리서비스 홈페이지에서 일괄조회할 수 있다.

 

종잣돈 모으기 전략, 연봉별로 다르다

- 1800~2000만원 : 3년 내 3천만원, 매달 80만원 투자(적금 60만원, 펀드 20만원)

- 2천만원대 : 4년 내 5천만원, 매달 100만원 투자(적금 80만원, 펀드 20만원)

- 3천만원대 : 3년 내 7천만원, 매달 160만원 투자(적금 130만원, 펀드 30만원)

- 4천만원대 : 3년 내 1억원, 매달 300만원 투자(적금 250만원, 펀드 50만원)

- 5천만원 이상 : 4년대 2억원, 매달 350만원 투자(적금 250만원, 펀드 100만원)

- 억대연봉 : 절세에 대한 책과 소득공제, 세액공제에 대한 내용 공부

 

- 즐겨찾기 해놓아야 할 재테크 사이트

모네타 : 모든 재테크 지식이 모여있는 곳

펀드닥터 : 펀드 가입 전에 반드시 한 번쯤 방문해야 하는 사이트

뱅크셀러드 : 각종 재테크 관련 정보가 정리된 사이트

 

- 참고지식

코스피(종합주가지수) : 우리나라에서 상장된 모든 회사의 주식 총액을 나타내는 지표

코스닥(KOSDAQ) : 벤처기업을 위한 증권시장

코스피200 : 시장 상황과 업종을 대표하는 200개의 회사를 선정한 것

니케이지수 : 일본판 코스피200

상하이종합지수 : 중국 본토를 대표하는 주가지수, (상하이A, 상하이B)

 

월급의 배달 사고, 원인은?

- 계약 연봉과 실수령액은 다르다.

4대보험

- 국민연금 : 월급의 9%를 낸다.(회사와 반으로 나눠 4.5%)

- 건강보험 : 월급의 6.46%를 낸다.(회사와 반으로 나눠 3.23%)

- 장기요양보험료 : 월급의 0.27%를 낸다.(회사와 반으로 나눠 0.135%)

- 고용보험 : 월급의 0.65%를 낸다.

 

- 소득세 : 공제 대상 가족 수에 따라 다르다.

>> 즉, 연봉의 10%~20%는 국가에서 가져간다.

 

월급명세서 해부

기본급, 상여금, 연장근무수당, 복리후생비(식대, 교통비), 특별상여금, 소득세, 지방소득세,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장기요양보험료, 결근공제, 조합비, 실지급액

 

연령대별 포트폴리오 구성

20~30대 : 종잣돈 만드는 시기

- 소득의 대부분을 적립슥으로 투자함으로써 자산을 형성한다.

- 주식, 펀드는 장기투자하면 반드시 효도하는 상품이므로 첫 월급부터 시작

- 부동산 30%, 금융 70%(펀드60%, CMA 10%)

30대 중반~40대 중반 : 종잣돈 굴리는 시기

- 만들어진 종잣돈을 굴리는 시기

- 원금을 잃지 않으면서 수익이 나는 투자 상품을 찾는다.

- 부동산 40%(내집마련을 목표), 금융60%(펀드 50%, CMA 10%)

40대 후반~50대 후반 : 자산을 지키는 시기

- 은퇴 이후 삶을 미리 준비하는 방식

- 부동산 50%(안전 자산), 금융 50%(펀드 30%, CMA 20%)

60대 이후 : 자산을 처분하는 시기

- 무리하게 자산을 늘리기 보다 안정적으로 자산을 보유하는 방식

- 부동산 40%(연금 형태로 돌린다), 금융 60%(현금자산 20%, 연금 자산 40%)

 

사회초년생 포트폴리오 예시

청약저축 - 20만원 : 소득공제, 내집마련 준비용

적금 - 50만원 : 재테크의 시작, ISA로 관리

적립식 펀드 - 60만원 : 직장인은 재테크 친구

연금저축 - 30만원 : 소액으로 시작

정기보험 - 15만원 : 되도록이면 보험이 필요

실손보험 - 2만원 : 혹시 모를 병원 신세 대비

 

절약 앞에 장사 없다

가랑비에 옷 젖는다는 말이 있듯 조금씩 빠져나가는 돈을 잘 모아서 제대로 굴리자

금연통장, 커피통장, 금주통장, 택시비통장 등을 만들자

 

신용카드, 독일까 약일까

독이 되는 경우 : 금전 감각 마비, 현금서비스 사용, 할부결제

약이 되는 경우 : 각종 할인 혜택, 교통카드 연말정산 혜택

 

자동차는 돈이아닌 용기로 사는 것

국산차 가격만 해도 2500~3000만원

차 가격을 은행에 넣어두면 연간 20~60만원을 포기하는 것이며 보험료, 기름값 등을 포함하면 평균 한달 40만원을 포기한 결과물이다.

차가 필요하다면 쏘카 같은 랜트가 훨씬 경제적이다.

 

건강도 재테크다.

병원 진료비가 자동차 한 대값이므로 건강관리가 필요

건강해야 회사도 오래 다닐 수 있다.

은퇴 이후에도 가장 큰 변수는 병원비와 간병비며 이를 위해 건강이 필수다.

 

골목식당과 재무설계의 공통점

회사가 전쟁터면 밖은 지옥이다.

월급쟁이와는 달리 다른 자영업자는 재테크 설계가 어렵다.

실패하면 환경과 외부요인을 탓하게 되는데 이보다는 솔루션을 따르는 것이 좋다.

세무상담을 원하는 고객들을 위해 국세청 홈택스에서 무료로 상담을 진행한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